top of page

■  일반사항

 

      ○ 국명 : 카메룬공화국(Republic of Cameroon)

      ○ 수도 : 야운데(Yaounde, 307만명)

              - 최대경제도시 : 두알라(Douala, 253만명)

      ○ 인구 : 2,374만명(‘15.7 잠정, CIA)

      ○ 면적 : 475,442㎢(한반도의 2.2배)

      ○ 민족 : Bantu, Kirdis, Fulani족 등

      ○ 종교 : 천주교/기독교(45%), 회교(22%), 토속종교(25%)

      ○ 언어 : 불어·영어 공용어

      ○ 독립 : 1960.1.1(프랑스로부터 독립)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주요인사

              - 대 통 령 : Paul BIYA(비야)

              - 총 리 : Philémon YANG

              - 외교장관 : Lejeune Mbella MBELLA

 

 ■ 경제현황

     ○ GDP : 321억불(‘14, World Bank)

     ○ 1인당 GDP : 1,407불(‘14, World Bank)

     ○ 경제성장률(GDP) : 5.9%(‘14, World Bank)

     ○ 교역 : 130.6억불(‘14, IMF)

             - 수출 : 52.5억불

             - 수입 : 78.2억불

     ○ 화폐단위 : CFA Franc(1€=655.96/고정환율)

     ○ 주요 부존자원 (추정 매장량)

             - 석 유 : 2억배럴(세계 53위)

             - 천연가스 : 4.77조입방피트(세계 48위)

             - 철광석, 보크사이트, 코발트 등 상업개발이 가능한 광물 50여종 부존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수교일자 : 1961.8.10

     ○ 공관현황

            - ‘69.1 주카메룬 한국대사관 개설

            - ‘98.8 주카메룬 한국대사관 철수

            - ‘08.9 주카메룬 한국대사관 재개설

            - ‘14.11 임재훈 대사 부임

            ※ 주카메룬명예영사 : Mouhamadou DABO MODA그룹 회장

            - 카메룬측 : 주일본 대사관에서 겸임

            ※ 주한명예영사 : 조동순 (주)타이가 회장

      ○ 수출입현황 : 7,351만불(‘15, KITA)

             - 수출: 3,081만불

             - 수입: 4,270만불

       ○ 투자현황 : 16건, 1,352만불(‘15누계, 수출입은행)

       ○ 주요협정 체결현황

             - ‘70.8 의료기술협력 각서

             - ‘77.11 경제․통상협력에 대한 일반 협정

             - ‘83.8 무역협정

             - ‘85.8 문화협정 가서명

             - ‘11.2 KOICA 봉사단 파견협정

             - ‘11.11 청소년 교류 약정

             - ‘13.12 투자보장협정 서명(미발효)

             - ‘14.6 무상원조 기본협정

       ○ 주요인사교류

            - 방문

               ‘91.5 김창훈 대통령특사

               ‘95.2 노영찬 대통령특사

               ‘96.5 김영수 대통령특사

               ‘10.5 박영준 국무차장

               ‘11.6 박석환 외교부 1차관

                 (제2차 한-카메룬정책협의회)

               ‘15.4 이돈현 관세청 차장

             - 방한

               ‘79.4 Keutcha 외무장관

               ‘85.8 Sale 외무담당 국무장관

               ‘89.7 Lawrence 국회의장

               ‘03.5 Asafor 감사원장

               ‘03.5 Ali 법무부장관

               ‘04.7 Mebara 국무장관 겸 대통령비서실장

               ‘06.11 Ngolle 대통령특사(임산부장관)

               ‘08.3 Ndinga 산업광업기술개발부 장관

               ‘09.6 Foumane 외교부 사무차관

                (제1차 한-카메룬정책협의회)

               ‘09.11 Maigari 교통부장관, Motaze 경제계획지역개발부 장관

               ‘10.10 Fuh 산업광업기술개발부 차관

               ‘11.4 Ndinga 산업광업기술개발부 장관

               ‘12.10 Sadou 공공계약부 장관, Mey 재무부장관

               '13.8 Hayatou 보건부 차관

                ‘13.10 Atangana 에너지수자원부 장관

                ‘14.10 Manaouda 에너지수자원부 차관

                ‘14.10 Emmanuel경제기획부장관, Fuda 보건부 장관

                ‘15.5 Alim 초등교육부장관

                ‘15.11 Mbayu 외교부사무차관

                   (제3차 한-카메룬정책협의회)

        ○ 교민현황 : 100여명(’15.6)

        ○ 여행경보

               - 특별여행경보(철수권고) : EXTREME-NORD 주

               - 적색경보(철수권고) : EXTREME-NORD 주, NORD주, ADMAOUA 주

               - 남색경보(여행유의) : 상기외 전지역

 

 ■ 북한과의 관계

       ○ 수교일자 : 1972.3.3

       ○ 공관현황

             - 북측 : 주콩고민주공화국대사관에서 겸임

             - 카메룬측 : 주중국대사관에서 겸임

                ※ ‘95.4 주카메룬 북한대사관 철수

 

 ■ 최근정세

        ○ 82 Ahmadou Ahidjo 대통령은 22년간 행사해온 권력을 당시 헌법상 대통령 유고시 권력승계자

          (총리)의 지위에 있던 Paul Biya에게 이양

        ○ 83 Ahidjo 전 대통령의 배후로 Biya 대통령에 대한 쿠테타가 실패함에 따라 Ahidjo는 프랑스로 망명

        ○ 90 대규모 민주주의 시위와 파업으로 Biya 대통령 단일정당제를 포기하고 다수 정당제 승인

        ○ 92 Biya 집권 후 첫 민주주의 선거에서 Biya 당선

        ○ 94 Bakassi 반도의 영유권을 둘러싼 카메룬과 나이지리아 간 무력 충돌 다수 발생

        ○ 97 대통령 선거에서 Biya가 재선

        ○ 02 ICJ는 Bakassi 반도에 대한 카메룬의 영유권 인정(’06년 협정 체결 및 ‘08년 이양완료)

        ○ 04 Biya 대통령 재선(’92년 직선제 이후 3선)

        ○ 08 헌법의 대통령 연임 제한 조항 철폐 움직임에 대한 반대 및 유가 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대규모 소요사태발생

        ○ 08 대통령 연임 제한 조항 철폐안 의회 통과

        ○ 11.10 대선에서 Biya 대통령이 77% 지지로 재당선(직선제 이후 4선, 총 6번째 임기)

        ○ 13.4 1996 개정 헌법에 명시된 상원의원 선거가 그간 실시되지 않았으나, ‘13.4.14 최초 실시

        ○ 14.5 보코하람에 대해 강경대응 방침 천명

              - 신속대응군(BIR) 파병, 나이지리아와 국경 일부 폐쇄 등 조치

        ○ 14.6 ’기니만 해양안보 역내조정센터(ICC)‘설치

        ○ 15.1 보코하람 공세 대응 위해, 차드군 배치 허용

        ○ 15.2 역내국가들의 보코하람 공세 공동 대응을 위한 중앙아프리카 평화안보 정상회의 개최

        ○ 17.1 현재 정세는 비교적 안정적이나, 고령인 Biya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유고시 혼란 야기 가능성 상존

연락처: +237)690-277-965 / 070-4150-1800

주소: 카메룬 두알라 보나프리조

          (Bonapriso, Douala, CAMEROUN)

카카오톡 ID: facalee

Email: facalee@naver.com

bottom of page